정적 컨테츠, MVC , API 이해라도 해보자!!!
드디어 스프링에 입문을 하게 되었다.
스프링을 마주한 소감은 아직 생각했던거보다 훨씬 이해가 안된다.
자바에서는 클래스와 상속을 이해하였을 때부터 자바에 재미를 붙이고 있어서 스프링을 배우는 것도 즐거울 거 같았다.
그런데 아직 잘 모르겠다 자바를 할 때는 구조가 어렵다는 생각은 잘 안들었는데.. 스프링은 아직 실행되는 구조를 잘 모르겠다.
그래서 나의 성격성 구조를 이해하지 못하고 실행이 된다해도 만족 할 수 없기 때문에 가장 간단한 구조부터 하나씩 이해하려 노력하려 한다.
정적 컨테츠

정적인 콘텐츠 즉, 이미 완성이 되어있는 HTML과 같은 문서를 브라우저로 전달합니다.
MVC

- MVC란 Model-View-Controller의 약자로, 소프트웨어 디자인 패턴 중 하나입니다.
- MVC 패턴은 소프트웨어를 구성하는 요소들을 Model, View, Controller로 구분하여 각각의 역할을 분리합니다.
Model
- 데이터와 비즈니스 로직을 담당합니다.
- 데이터베이스와 연동하여 데이터를 저장하고 불러오는 등의 작업을 수행합니다.
View
-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담당합니다.
- 사용자가 보는 화면과 버튼, 폼 등을 디자인하고 구현합니다.
Controller
- Model과 View 사이의 상호작용을 조정하고 제어합니다.
- 사용자의 입력을 받아 Model에 전달하고, Model의 결과를 바탕으로 View를 업데이트합니다.
API

`@ResponseBody` 를 사용
HTTP의 BODY에 문자 내용을 직접 반환
`viewResolver` 대신에 `HttpMessageConverter` 가 동작
기본 문자처리: `StringHttpMessageConverter`
기본 객체처리: `MappingJackson2HttpMessageConverter`
byte 처리 등등 기타 여러 HttpMessageConverter가 기본으로 등록되어 있음